ladder polymer: 두 linear polymer이 기본 뼈대를 이루고 있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crosslinking unit이 결합한 polymer. 예시로 hydrogen bonding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DNA가 있다. ladder polymer은 crosslinking unit 때문에 thermal stability가 좋고 rigid하며 less soluble하다. MW drop이 일어나기 위해선 기본 뼈대를 이어주고 있는 crosslinking을 모두 잘라야 되기 때문에 안정성을 보인다. 

 

 

 

Copolymer: 두개 이상의 monomer가 조인된 polymer을 copolymer이라고 한다. 

<SAN copolymer>

copolymer은 두 monomer가 결합된 규칙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 random copolymer : 무작위적으로 두 monomer가 나타나는 형태이다. free radical 방식으로 합성한다.

예시) ABBBAABABAABABA

 

2) alternating copolymer: 두 monomer가 번갈아가면서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이다. ionic 방식으로 합성한다. 

예시) ABABABABABABABA

 

3) block copolymer : 먼저 한 monomer가 나온 뒤 이어서 다른 monomer가 나타나는 형태이다. ionic 방식으로 합성한다. block copolymer의 경우에는 polymerization에 사용된 두 homopolymer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예시) AAAAAAABBBBBBBB

 

terpolymer: 3개의 monomer units이 참여한 copolymer 

 

graft copolymer: 한 monomer가 linear backbone을 이루고, 다른 monomer가 랜덤하게 분포된 branch를 이루는 copolymer을 graft copolymer이라고 한다. block copolymer처럼 두 homopolymer에서 나온 성질을 가지고 있다. graft copolymer을 합성하는 방법은 먼저 두 polymer을 섞어주고, 방사선을 쬐이거나 기계적인 힘을 주면 된다. 

<graft copolymer와 합성법>

telechelic polymer: prepolymer(아직 중합이 완료되지 않은 polymer)의 한 종류이다. chain의 끝에 reactive group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합을 계속해서 이어나갈 수 있다. 산소와 만나 순간적으로 중합이 시작되는 순간접착제 역시 telechelic polymer의 일종이다. 빛을 주면 활성화 되는 polymer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