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약
- VASP에는 gaussian과 달리 Thermal energy correction을 직접적으로 해주는 module이 존재하지 않음
- vaspkit 등 외부 module 필요함
- https://www.youtube.com/watch?v=WG7wubNGX2E&ab_channel=dbinfotech
해당 영상에 나와있는 tag값을 그대로 사용했다
IBRION = 5
POTIM = 0.02
NFREE = 2
- geometric optimization 구조에서 INCAR에 위의 tag를 추가한 뒤 계산을 진행해주면 된다.
2. VASPKIT
- frequency 계산을 진행한 폴더에서 VASPKIT 실행 → 5(Catalysis-ElectroChem Kit) → 501/502(Thermal corrections for ~) 로 thermal correction을 계산할 수 있다.
- Zero point energy(ZPE)와 Entropy contribution (T*S)의 값을 사용해서 gibbs free energy의 값을 구한다.
- Thermal correction for gas 와 for absorbate 두 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 기본적인 계산 원리는 동일하나 adsorbed molecules의 경우 substrate와의 결합으로 인해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freedom이 줄어들게 된다
- 일반적으로 분자의 3N vibration으로 translation과 rotational을 대체하게 되는데, 낮은 진동수가 엔트로피에 비정상적인 free energy correction을 초래함.
- 따라서 50cm-1 이하의 vibration frequency 값을 50cm-1으로 계산함. VASPKIT에서도 동일한 방법 사용
- https://vaspkit.com/tutorials.html#thermo-energy-correction 해당 내용 참고
3. Calculation
- G= E(electronic energy) + ZPE + TS 로 계산한다 (E는 optimized energy, ZPE와 TS는 VASPKIT의 값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