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릴아민의 경우 nitrobenzene에 NO2를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를 사용하므로서 쉽게 만들 수 있다.
이때 H2+Pt 촉매의 경우 벤젠고리에 치환된 C=O 를 환원시킬 수도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SnCl2 + 산촉매를 사용하기도 한다.
환원제의 종류와 효과에 대해서는 따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벤젠고리 NO2의 환원 방법
1. H2 + Pt촉매
2. metal + H+ (아래의 경우에는 SnCl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FC494B5BFEB10D24)
암모니아나 아민은 좋은 nucleophile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할로젠화 알킬과 반응 할 시에 쉽게 SN2 치환반응이 일어난다. NaOH는 HX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5F393E5BFEB10D17)
그러나 암모니아 혹은 아민의 SN2치환반응을 통한 아민의 합성은 화학적으로 적절하지 않다. 이미 치환이 일어난 생성물에서 치환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 혼합 생성물을 만들기 때문이다. 알킬기는 EDG(전자 주는 그룹)이기 때문에 많이 치환될수록 질소를 더 강한 Nu로 만들어 준다. 아래의 경우에서 3치환, 4치환 아민이 적게 생긴 이유는 상당히 큰 alkyl chain이 steric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052355BFEB10D19)
selective preparation of primary amine에는 크게 4가지 방법이 있다.
1. Azide synthesis
2. gabriel synthesis
3. reduction
4. Hofmann and Curtius rearrangements
1.Azide synthesis
azide ion은 N3- 이다. azide ion은 1차,2차 alkyl halide와 Sn2 치환 반응을 통해 alkyl azide (RN3)를 형성한다. 이때 alkyl azide는 Nucleophile이 아니기 때문에 더이상 alkyl halide와 Sn2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다. NaN3를 넣을 때 Na+를 포집하는 Crown ether를 촉매로 넣어주면 반응성을 높힐 수 있다. alkyl azide는 불안정하며 폭발할 수 있다. 이 반응은 흡열반응이다.
생성된 alkyl azide를 LiAlH4로 환원시키면 N2가 빠져나가면서 일차아민이 형성된다. 이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N2는 neutral이면서 굉장히 stable (질소 사이의 삼중결합은 220kcal/mol 정도) 하기 때문에 good leaving group이다. N2의 이탈이 이 반응의 driving force가 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CA88345BFEB10D25)
2. gabriel synthesis
phthalimide alkylation을 이용한다. phthalimide의 파란색으로 표시 된 H는 pka가 8 정도이다 (두 개의 케톤 사이의 H의 pka가 9 임을 기억하자). KOH는 이 acidic 한 proton을 때가고 질소가 음이온 상태인 Nu를 만든다. alkyl halide와 Sn2 치환 반응을 통해 imide가 생성된다. imide에 염기촉매로 가수분해를 하면 카복실산(diacid)과 일차 아민이 생성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915375BFEB10D12)
3. reductive amination of aldehyde and ketone
케톤이나 알데하이드에 암모니아를 첨가하면 imine이 형성된다. imine에 H2/Ni 또는 NaBH4로 reduction 시켜주면 1차 아민이 형성된다.
이민 형성 과정
<이민 형성 과정, 전형적인 카보닐 치환 반응이 일어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29D93F5BFEB10D26)
<C=N 결합을 환원시킨다>
NaBH3CN은 C=N은 환원시키지만 C=O는 환원시키지 못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85F345BFEBC4618)
4. Hofmann and Curtius Rearrangements
카복실산의 derivative는 탄소 하나를 잃으면서 일차 아민을 형성한다.
amide에서 시작하는 반응을 hofmann rearrangement라 하고 acyl azide에서 시작하는 반응을 curtius rearrangement라고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2CE345BFEBC462A)
Hofmann rearrangement의 mechanism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마치 할로젠화 반응 처럼 Br이 알파 탄소 위치에 치환된다. N에 달린 H는 더 acidic해지며 염기에 의해 제거된다. good leaving group인 Br- 가 떨어져 나가면서 isocynate가 생성된다. isocynate는 물과 급격하게 반응해 carbamic acid를 형성한다. 이때 H2O의 비공유전자쌍은 C 원자를 공격한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3A384D5BFEBCCB2B)
carbamic acid는 불안정한 화합물 중 하나이다. O와 결합된 H는 염기에 의해 쉽게 제거되며 good leaving group인 CO2가 나가며 안정해진다.
acyl azide는 acid chloride에 NaN3 (N3- = azide ion)을 반응시켜 쉽게 만들 수 있다. Hofmann rearrangement처럼 isocyanate 중간체가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good leaving group인 N2가 빠져나간다. 이후 반응은 Hofmann rearrangement와 동일하다(carbamic acid 형성 이후 CO2 이탈)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78D3C5BFEBCF82A)